상주가 알아야 할 장례 절차 (3일장 기준)
상주는 빈소를 지키며 조문객을 맞고, 입관•발인 절차를 주관하는 중심 역할을 맡습니다.
장례식장은 대부분 전문 인력이 지원해 주니, 큰 흐름만 숙지하고 마음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임종 및 운구
- 임종 직후 장례식장을 정하고, 고인을 운구합니다.
- 상주와 가족들은 장례식장 직원 안내에 따라 빈소를 마련합니다.
2. 빈소 차림 (첫째 날)
- 영정 사진: 고인의 사진을 준비하여 액자에 넣습니다.
- 분향소 준비: 위패, 영정, 제상, 향로, 헌화대 등을 장례식장에서 세팅해 줍니다.
- 부고 알림: 친척, 지인, 직장 등에 부고를 알리고, 모바일/문자/전화 등으로 안내합니다.
- 조문 접대: 상주는 상복을 입고 빈소에서 조문객을 맞습니다.
3. 입관식 (둘째 날)
- 염습: 고인의 몸을 닦고 수의를 입히는 절차. 장례지도사와 종교인(스님, 신부, 목사 등)이 참여하기도 합니다.
- 입관: 수의를 입은 고인을 관에 모십니다. 상주와 가족들이 곁에서 지켜보며 마지막 예를 올립니다.
- 이후 조문은 계속 이어지고, 상주는 빈소를 지킵니다.
4. 발인식 (셋째 날 아침)
- 발인제: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장례식장에서 마지막 예를 드립니다.
- 조객 인사: 찾아와 준 조문객들에게 마지막으로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.
- 이후 운구차에 고인을 모셔 장지로 이동합니다.
5. 장지 및 안장
- 화장 시: 화장장에서 화장을 마치고 납골당이나 봉안당에 모심
- 매장 시: 묘지에 하관 후 제례 진행
- 상주는 영정을 들고 고인의 마지막 길을 함께 합니다.
6. 사후 예식
- 위령제/종교의식: 종교에 따라 추모 예식을 드립니다.
- 상주 역할 종료: 발인 후 유가족은 정리와 귀가, 이후에는 삼우제(사흘 뒤), 기일 제사 등으로 이어집니다.
※ 상주가 기억해야 할 내용
- 예의와 태도: 상복 착용, 조문객 정중히 맞이하기
- 장례 절차 흐름: 임종→빈소→입관→발인→장지→안장
- 부고•감사인사: 적절한 시점에 알리고 마무리 인사 준비하기